아시아 축구 연맹
1. 개요
AFC 아시안컵,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U-19와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등의 국가대표급 경기들과 ACL과 AFC컵같은 프로축구 클럽대항전을 주관하는 아시아의 축구 연맹이다. 피파의 6개 대륙별 연맹의 하나이며 주요 국가대항전은 AFC 아시안컵이다.
아시안 축구 하이라이트 영상
1954년 5월 8일에 필리핀 마닐라에서 설립되었고, 동년 6월 21일에 피파로부터 공식적으로 인가를 받아 아시아 축구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당시 창립 멤버는 12개국[4] 에 불과했으나 2010년 현재 멤버는 46개국으로, 아시아 대부분의 국가를 포함하고 있다.
전 회장이던 카타르 출신 무함마드 빈 함맘(محمد بن همّا)은 대표적인 블래터파 인물로, 정치적으로 이와 반대선상에 있는 전 피파 부회장 정몽준이나 조중연 전 대한축구연맹회장과는 서로 대립각을 세우던 바 있지만 FIFA 회장 선거에 나선다고 하다가 제프 블라터에게 찍혀서 축구계에서 퇴출당했다. 2011년부로 당시 부회장이었던 중국 국적의 장지룽이 회장 대행이었다가 2013년 바레인 국적인 셰이크 살만 빈 이브라힘 알 칼리파가 새로운 회장으로 당선되었다.
AFC 본부는 현재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으며, 조추첨 등 주요 행사를 대부분 이 곳에서 치르고 있다. 중동 국가들은 함맘 시절에 본부를 중동지역으로 옮기려고 여러 번 시도했으나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반대에 부딪혀서 번번이 실패했고 함맘의 실각으로 인해서 사실상 무산됐다.
2. 개최 대회
3. 중계권 현황(2024년까지)
- 대회 별로 중계권을 판매하는 FIFA와 달리 AFC는 중계권을 패키지 형태, 다년 계약으로 판매하고 있다. FIFA의 경우 대회별로 판매해도 FIFA라는 브랜드 이미지가 워낙 크기 때문에 따로 팔아도 별 문제가 없지만 AFC는 여건 상 그게 안되기 때문에 묶어 파는 것이다.
- AFC 패키지에는 FIFA 월드컵 지역예선(최종예선 한정), AFC 아시안컵, AFC 챔피언스 리그는 물론 각종 연령별 대회에 풋살, 비치사커 대회까지 모두 포함한다.
4. 공식 스폰서십
4.1. AFC 챔피언스 리그 파트너
}}} ||
4.2. AFC컵 파트너
}}} ||
4.3. AFC 내셔널 매치 파트너
}}}||
5. 지역 연맹
아시아대륙이 원체 넓어서 산하에 지역연맹을 두고 있다. 각 연맹마다 컵대회가 따로 있다.
6. 회원국
'''※사우디아라비아는 여자 대표팀이 없다.'''
6.1. 사라진 팀
6.2. 타 대륙 연맹으로 편입한 팀
-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1966년 OFC에 편입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 중동 국가들의 압력으로 1975년 AFC에서 퇴출된 후 OFC를 거쳐 1991년 UEFA에 편입
-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2002년 UEFA에 편입
7. 역대 회장
8. 국제대회 출전 횟수[15]
-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
- 현 UEFA 소속인 이스라엘은 1978년 이전 국제대회에 AFC 소속으로 출전한 경력이 있다.(1978년 축출[16] )
- 호주(2006), 북마리아나 제도(2009), 괌(2011)은 기존까지 OFC 소속으로 국제대회에 출전하였다.
- 미얀마는 1989년까지는 버마라는 국호로 출전하였다.
8.1. 남성 대회
8.1.1. FIFA 월드컵
- 대한민국은 아시아 축구연맹국 중에서 월드컵 최다출전(10회) 및 최다연속출전(9회연속) 기록과 최고성적을 가진(2002월드컵/4위)팀으로 기록되어 있다. 4위는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국가가 월드컵에서 기록한 역대 최고 성적이자 유일무이의 기록.
- 1938년 인도네시아(1949년 독립)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로 출전하였다. 아시아 국가 사상 최초의 월드컵 본선 진출.
- 1950년 인도는 진출권을 획득하였으나 대회 시작 전 기권하였다.
- 1966년 북한은 아시아 국가 사상 최초로 조별리그를 통과하며 8강에 진출했다.
- 대한민국과 일본은 2002년 대회에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하였다.
- 카타르는 2022년 대회에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할 예정이다.
8.1.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8.1.3. AFC 아시안컵
8.1.4. 코파 아메리카
8.1.5. 골드컵
8.1.6. OFC 네이션스컵[A]
8.1.7. 올림픽
1952년까지는 원하는 팀은 그냥 참가했고 1956년 대회부터 지역 예선을 실시하였다.
2020 도쿄 올림픽은 2021년으로 연기되었다.
8.1.8. FIFA U-20 월드컵
8.1.9. FIFA U-17 월드컵
8.1.10. 아시안 게임
8.1.11. 퍼시픽 게임[A]
8.2. 여성 대회
8.2.1. FIFA 여자 월드컵
8.2.2. 올림픽
8.2.3. FIFA U-20 여자 월드컵
8.2.4. FIFA U-17 여자 월드컵
8.2.5. 아시안 게임
8.2.6. 퍼시픽 게임[A]
9. AFC 올해의 선수상
1984년 아시아-오세아니아 사커 핸드북이라는 도서에서 아시아 최고를 뽑는 설문을 시행한 것이 이 상의 기원이며 1988년부터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 (IFFHS)에서 시상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2년까지 IFFHS에서 시상을 맡다가 1994년 이후로 AFC가 시상하고 있다. 1994년 이전의 선정은 AFC 입장에서 비공식 기록에 해당되지만 전체적인 아시아 올해의 선수상에서는 인정받고 있다.#
9.1. AFC 올해의 선수상
- 아시아-오세아니아 사커 핸드북에서 설문한 1984년 아시아 올해의 선수는 마제드 압둘라가 선정되었다. 그러나 신뢰할 만한 축구 기관이 아니라 한 일개 도서가 주관했다는 점, 선정 방식이 불명확했다는 점에서 공식적인 선정이라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실제로 마제드 압둘라는 당대 최고의 중동 공격수였지만 레버쿠젠에서 활약한 차범근이 단 1표에 그친 것을 봤을 때 결과에도 의문이 있으며,# RSSSF에서도 이 설문 결과는 아시아 올해의 선수 본문에서 배제하고 있다.
-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 (IFFHS)이 주관한 선수상은 1988년에 이라크의 아메드 라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우리나라의 김주성, 1992년에 미우라 카즈요시가 선정되었다. 김주성은 현재까지도 아시아 선수상의 최다 수상자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미우라의 경우 1993년에 AFC에서 비공식적으로 선정했다는 이야기들도 있으나 정확히는 IFFHS 시절 1992년의 공식 수상자이다.# 그리고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발롱도르와 각 대륙의 시상식이 개최되지 않은 틈을 타서 IFFHS가 이에 대한 시상을 진행했는데, 아시아는 손흥민이 선정되었다.
- 2005년도 시상식에서 "시상식에 참석할 수 없는 선수는 올해의 선수 후보에서 배제한다."고 갑작스럽게 규칙을 바꿔 박지성, 이영표, 나카무라 슌스케 같은 선수들을 배제해서 큰 논란이 있었다. 특히, 박지성은 이 시기에 발롱도르와 UEFA 시상식 후보에 모두 이름을 올리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하며 세계적으로 주목 받았기에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외신들도 당연히 아시아 선수상의 강력한 후보라고 예상했다. 사우디의 알 몬타샤리가 이 해에 수상을 했으나 긍정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제프 블라터 FIFA 회장 또한 당시 인터뷰에서 이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며 직접적으로 제재하려는 모습은 아니었지만 타 대륙에서 활동하는 후보를 제외하지 말 것을 권장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는 오히려 AFC 주관 대회에서 활약한 선수만을 후보에 올린다는 기준을 세웠고 유럽파들을 지속적으로 배제했다.[29]
- 2005년 이후에도 유럽파 배제에 대해 논란이 있었지만 AFC가 규정을 고치려는 모습은 없었다. 2011년에는 오랜만에 유럽파들을 후보 대상으로 인정하여 드디어 제대로 시상을 하나 싶더니 결국 시상식에 참석 못하는 유럽파 3인 카가와 신지, 혼다 케이스케, 구자철을 제외했고,[30] 같이 최종 후보에 오른 염기훈까지 소속팀 일정 때문에 불참하자 세르베르 제파로프, 하디 아길리 단 두 선수만이 경쟁을 했고 제파로프가 본인의 두 번째 수상을 차지했다. 그러나 제파로프의 한 해 활약상은 아시안컵에서 우즈벡을 4강에 올린 주역이라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이지 클럽 팀에서는 특출난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고 아시안컵 4강만으로 상의 자격이 있는지에 대해서 언론들의 의문을 받았다. 괜히 유럽파들을 다시 후보에 올렸다가 2005년의 사태를 재발시켰고 그 결과, 세간에서는 강도 높은 비판이 이어졌다. 결국 AFC는 조치를 취하는데 기존의 선수상 기준을 유지하는 대신 타 대륙에서 활동하는 선수들을 위한 올해의 국제 선수상을 만들었다.
- 올해의 국제 선수상을 만들어서 논란을 줄이고 기존 선수상의 방식을 유지하려는 AFC였지만, 그 외에도 선정 기준이 모호하고 투표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2013년부터 중국의 스포츠 신문사 '티탄 스포츠'는 발롱도르에서 영감을 받은 아시아판 발롱도르 '베스트 풋볼러 인 아시아'를 만들어 매년 시상하고 있다. 이 상도 후보 30인을 중국 신문사가 주관적으로 선정한다는 문제점이 있기는 하지만,[31] 그 이후에는 선정 과정과 결과가 명확하고 다양한 아시아 국가의 기자들이 참여한다는 점에서 객관성은 AFC 선수상보다 낫다고 볼 수 있다. 폭스스포츠의 동남아시아 지부인 '폭스스포츠 아시아'도 이 상을 밀어주고 있다. 그리고 2020년까지 8회의 시상 중 손흥민이 무려 6회나 선정되며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외의 시상도 2013년에 혼다 케이스케가, 2016년에 오카자키 신지가 선정되며 예상대로 유럽파들이 싹쓸이를 하고 있다.
9.2. AFC 올해의 해외파 선수상
아무래도 기존의 시상식에 참가해야만 올해의 선수상을 수여하는 방식에 대해 형평성이 어긋난다고 욕과 비판을 많이 얻어 먹었는지 2012년부터 기존의 아시아 선수상과는 별개로 해외파 선수상을 만들어서 유럽리그에서 뛰는 해외파 아시아 선수들 중에서 따로 한명의 선수를 뽑아 시상하기 시작했다.
9.3. AFC 올해의 외국인 선수상
기존의 올해의 선수상과 별개로 해외파 아시아 선수상을 만들때 아시아 리그에서 뛰는 최고의 외국인 선수를 선정하기 위해 2012년에 같이 만들어졌다. 2015년 이후 폐지했다.
10. AFC 올해의 감독상
11. 중동 편애 논란
중동의 오일머니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중동 편애가 심한 편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대표적인 사건이 2009 시즌에 ACL 규정에서 컵 타이 규정[35] 을 폐지한 것이다. 규칙 자체는 대회 전에 개정했으니 문제는 없지만, 그 혜택을 받은 게 중동 클럽이었다는게 문제다. 또한 2011년 아챔 4강에서 벌어진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 알 사드 사건에서도 정작 비매너를 저질러 폭력 사태의 원인을 제공한 알 사드 측보다 수원 측에 더 강한 징계를 내려 한국 축빠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동아시아 국가들과 사이가 좋지 않은데 아시아 축구가 중동 vs 동아시아 구도 때문이기에 그렇다[36] . 아시아 유명 축구 TV프로그램 풋볼 아시아를 보면 이러한 구도가 보인다.
함맘 전 회장과 정몽준 전 피파 부회장 사이가 견원지간인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평소 AFC에 대해 탐탐치 않게 생각한 국가들은 AFC 회장선거에서 정몽준에게 표를 던지기도 했다. 결과는 실패로 돌아갔다.
하지만 딱히 중동 편애라고 볼 수만도 없는 게 오일 머니뿐 아니라 일본이나 한국, 중국, 동남아 스폰서들도 많다. 그리고 중동 편애 이야기가 나오는 근본적인 이유는 심판 배정 문제 때문인데, 같은 한자 문화권에 가까운 나라인 한국, 일본, 중국 사이가 별로인 것처럼 중동(서아시아) 쪽도 역사적으로나 최근에도 별로 사이 좋은 편이 아니다.[37] 그보다는 그냥 심판 수준이 떨어지는 거라고 보면 된다.[38]
그런데 돌연 샤이크 살만 현 아시아 축구 연맹회장이 '''"호주를 아시아권에서 퇴출시켜야 한다"'''라고 발언한 것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즉 살만 회장이 '''"호주가 아시아에 들어와 있는데 호주가 아시아와 관련이 있나?"'''라는 얘긴데, 링크된 기사를 봐도 알겠지만 호주가 아시아 연맹에 편입된 이후 월드컵 본선에 2번이나 진출했고 이는 중동 국가들로 하여금 불공정하다는 반발을 사고 있는 듯 하다는 것이다. 더구나 샤이크 살만 연맹회장이 바레인 축구협회회장이란 것을 고려하면 월드컵 본선 진출에 별 재미를 보지 못한 중동 국가들을 규합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문제는 호주가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가입할 때에는 반발을 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왜 세삼스럽게 이런 발언을 했느냐는 것이다. 아마도 호주 때문에 중동이 월드컵을 못 나가서 징징거린 것으로 보인다. 호주가 아시아와 관계가 없다고 한다면 애시당초 호주가 아시아 연맹에 가입한다고 하기 전에 회원국들이 반발을 했었을 것이다. 하지만 호주가 아시아 연맹에 가입한다 했을 때 결사 반대한 회원국이 아무도 없었다. 이래서인지 다른 아시아 나라들에게서는 뭐라는 거야? 소리를 들으며 별다른 호응을 얻지못했다.
12. 산하 협회의 축구리그
- K리그1 (대한민국)
- K리그2 (대한민국)
- K3리그 (대한민국)
- K4리그 (대한민국)
- K5리그 (대한민국)
- K6리그 (대한민국)
- K7리그 (대한민국)
- U리그 (대한민국)
-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대한민국)
- K리그 주니어 (대한민국)
- WK리그 (대한민국)
- J1리그 (일본)
- J2리그 (일본)
- J3리그 (일본)
- JFL (일본)
- 중국 슈퍼 리그 (중국)
- 중국 갑급 리그 (중국)
- A리그 (호주)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사우디아라비아)
-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이란)
- 우즈베키스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우즈베키스탄)
- 아라비안 걸프 리그 (아랍에미리트)
- 카타르 스타즈 리그 (카타르)
- 태국 프리미어 리그 (태국)
- V.리그 1 (베트남)
- 인도네시아 리가 1 (인도네시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부류축구련맹전 (북한)
- 홍콩 프리미어 리그 (홍콩)
- 대만 프리미어 리그 (대만)
[1] 한국인 작곡가 이동준이 작곡하였다.[2] 2015년 AFC 아시안컵에서 최초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나오는 앤섬은 2018년 리어레인지 버전이다.[3] 현 AFC 소속 국가 기준[A] A B C D E F 모두 OFC 소속시 기록[4]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화민국, 파키스탄, 필리핀, 홍콩 등 주로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국가들이 주축이 되었다.[5] 월드컵 최종예선 한정.[6] 아시안컵 한정.[7] 카타르 한정.[8] 레바논. 아시안컵 한정.[9] 요르단. 월드컵 최종예선 제외.[10] 쿠웨이트. 월드컵 최종예선 제외.[11] 사우디아라비아. 월드컵 최종예선 제외.[12] 국가대표 한정. 월드컵 최종예선 제외.[13]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정.[14]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이 승계,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이 패망할 때까지 FIFA에 가입하지 않았다.[15] 현 AFC 소속 국가 기준[16]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까지는 아시아지역예선을 치루었으나 이후 중동국가들의 입김으로 강제로 탈퇴당해 오세아니아등지를 떠돌다가 1991년 유럽축구연맹에 가입하여 1994년 미국 월드컵 부터는 유럽지역예선을 뛰게 되었다. 여담으로 1970년 멕시코 월드컵 이후 가장 본선에 근접했던 대회가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으로 당시 오세아니아 예선1위의 자격으로 콜롬비아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루었으나 패배해 아쉽게 본선에 오르지는 못했다.[17] 2006년 대회까지는 OFC 소속이었기 때문에 AFC 소속일 때의 기록만 보면 3회다.[18]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19] 현재 UEFA 소속이지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던 당시에는 AFC였다.[20] 2004년까지는 OFC였으며, AFC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2회다.[21] 중화민국 국호로 출전(특히 1949년 이전까지는 중국 본토 전체를 대표했다).[22] 지금은 유럽 소속이지만, 이 당시에는 아시아 소속이었다.[23] 2005년까지는 오세아니아 소속이었으며, 아시아 소속일때만 보면 3회 출전[24] 2005년까지는 오세아니아 소속이었으며, 아시아 소속일때의 기준으로만 보면 3회 출전[B] A B 대한민국 & 버마 공동 우승[C] A B 남북한 공동 우승[25] AFC소속 기준으로만 계산하면 4회 출전[26] 아시아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1회 출전[27] 아시아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0회 출전, 이 3회 출전은 전부 오세아니아 소속일 때다.[2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29] 대륙 내에서 활동하는 선수에게만 자격을 인정하려는 방식은 사실 남미 올해의 선수상도 쓰고 있다. 다만, 남미의 경우 유럽에서 활동하는 수준 높은 선수들이 발롱도르에서 인정을 받기 때문에 따로 남미 대륙에 한정된 상을 시상해도 큰 문제가 없다. 아시아와 비슷한 레벨인 아프리카와 북중미는 선수상에서 타 대륙 활동을 차별하지 않는다.[30] 소속팀의 프리미어리그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에 기여하고 아시안컵에서도 한국을 3위로 이끌어 여전히 최고 수준 활약을 보여준 박지성은 2005년 시상식에 불참해서 찍혔는지 아예 최종 후보로도 뽑지 않고 미리 배제시켰다.(...)[31] 2019년의 시상에서 분데스리가와 UEFA 유로파리그의 베스트 팀에 뽑힌 하세베 마코토와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에서 맹활약한 황희찬을 후보 30인에서 제외시켰다. 아시아 내 약체에 속하는 국가들에서도 후보를 뽑으면서 유럽에서 크게 주목한 선수들을 배제한 것이다.[3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 언론들의 보도에서 손흥민이 선정된 국제 선수상은 팬 투표 비중이 60%인 팬 선정 상이며, 공식 선정이 아니다.# 같은 사례로 AFC는 챔피언스리그 MVP의 팬 투표도 진행했으며 여기서 이란 선수인 하메드 락이 선정되었지만,# 공식 MVP는 윤빛가람이다.#[33] 이 연도부터 남녀 감독이 공동 수상했다.[34] 이 연도에는 단독 수상했다.[35] 컵 대회를 1경기라도 출전한 선수가 시즌 중 이적하면 그 시즌의 해당 컵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하는 조항이다.[36] 아시안컵이나 월드컵 예선전 대진을 보면 사우디아라비아나 이란을 제외하면 동아시아 국대들이 두려워 해야 할 중동세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이라크, 그리고 특히 시리아 등이 간혹 동아시아에 빅엿를 선사하는 예도 있어서 만만하게는 볼 수 없다. 대체로 경기매너 때문에 논란이 많은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극성홈팬들과 침대축구(...).[37] 시아파와 순니파의 대립, 친미 국가와 반미 국가 진영의 대립, 작게는 카타르와 바레인의 하와르 제도 분쟁 등등.....하지만 이스라엘 문제나 터키의 EU 가입 논란처럼 확실히 뭉치는 부분도 있어서 100% 단언하기는 어렵다.[38] 이 문제에 대해선 존 듀어든도 칼럼에 거론한 적 있다.